[ 프로토콜 ]
정보기기 사이 즉 컴퓨터끼리 또는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 등에서 정보교환이 필요한 경우, 이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정한 여러 가지 통신규칙과 방법에 대한 약속 즉, 통신의 규약을 의미한다. ex) TCP/IP
[ HTTP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의 두문자어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
규칙을 정해두었기 때문에, 모든 프로그램이 이 규칙에 맞춰 개발해서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 SSH ]
secure shell의 약어. PGP와 마찬가지로 공개 키 방식의 암호 방식을 사용하여 원격지 시스템에 접근하여 암호화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 따라서 LAN 상에서 다른 시스템에 로그인할 때 스니퍼에 의해서 도청당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 무슨소린지 모르겠지만 안전하지 않은 공간에서 안전하게 네트워킹할수 있도록 도와주는 응용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
[ 데몬 ]
사용자의 실행 명령어 없이도 자동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세스
다시 말해서 컴퓨터를 켰을때 어떤 서비스나 명령어를 받아서 문제 없이 해결하기 위해 실행되는 것
[ 클라이언트와 서버 ]
■ 호스트
호스트(Host)는 일반적으로 컴퓨팅 기능이 있는 시스템이다. 일반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어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창구 역할을 한다.
■ 클라이언트
호스트를 세분할 때 호스트 사이에 제공되는 서비스를 기준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나눈다. 클라이언트(Client)는 서비스를 요청하는 시스템이다. 호스트는 다양한 서비스를 서로 주고받기 때문에 임의의 호스트가 클라이언트나 서버로 고정되지는 않는다. 이용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서 클라이언트가 될 수도 있고, 서버가 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특정 서비스를 기준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라는 상대적 용어로 구분한다.
■ 서버
서버(Server)는 서비스를 주고받는 호스트들의 관계에서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서버는 클라이언트보다 먼저 실행 상태가 되어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기해야 한다. 그리고 영원히 종료하지 않으면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있을 때마다 서비스를 반복해서 제공해야 한다.
[ 게이트 웨이 ]
복수의 컴퓨터와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등을 상호 접속할 때 컴퓨터와 공중 통신망, LAN과 공중 통신망 등을 접속하는 장치를 가리킨다.
[ IP ]
인터넷에서 해당 컴퓨터의 주소
[ 가상머신 ]
컴퓨팅 환경을 소프트웨어로 구현한 것, 즉 컴퓨터를 에뮬레이션하는 소프트웨어다. 가상머신상에서 운영 체제나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다.
[ 포트 ]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에서 포트(port)는 운영 체제 통신의 종단점이다. 이 용어는 하드웨어 장치에도 사용되지만, 소프트웨어에서는 네트워크 서비스나 특정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논리 단위이다.
[ 포트포워딩 ]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패킷이 라우터나 방화벽과 같은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를 가로지르는 동안 하나의 IP 주소와 포트 번호 결합의 통신 요청을 다른 곳으로 넘겨주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의 응용이다.
'코딩Language(전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공_시스템프로그래밍] 정수(Integer) 부호확장 (0) | 2019.09.09 |
---|---|
[전공_시스템프로그래밍] 정수(Integer) 데이터타입 (0) | 2019.09.09 |
[자바] 클래스와 객체 _ 설계도로 클론을 만들어보자 (1) | 2019.08.12 |
[ 리눅스 ] 사전지식2 Internet vs Web (0) | 2019.07.20 |
[ C언어 ] 지역변수의 값을 반환 = 無의미 (0) | 2019.07.18 |